2023년 7월 3일 월요일

워터 로잉머신의 한계...

 이전에도 얘기 했지만 워터 로잉머신을 6개월 쯤 하고 있다.

그런데 말입니다.

언제부턴가 생각보다 운동이 힘들지 않게 느껴진다.

강하게 당기면 소음과 기어가 헛 도는 느낌이 나면서 당기는 힘의 저항력이 약하게 느껴진다.

자주 가는 커뮤니티에 물어 보니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시는 분이 있었다.


물의 압축이 거의 안되는 성질때문에 그럴 겁니다.
회전을 시키다 보면 유체의 흐름이 생기는데, 그걸 젓는 임펠러도 물과 같이 돌아버려서 그럴 겁니다.

공기는 압축이 되는 유체라, 더 돌려도 어느 한도 내에서는 저항이 있을 수 있는데 반해
물은 임펠러가 물의 흐름과 같이 따라 돌아버리니 그럴 겁니다.

다른걸 ...점도가 높은걸 넣으면 저속에서는 운동부하가 커질지 모르나, 일정속도 이상에선 아마 똑같이 따라 돌게 마련일 겁니다.

유일한 방법은 기어비 이용 이겠죠. 변속을 하는? 그런데 현실적으로 불가 하죠.


공기식 로잉머신은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저항이 더해지지만 워터 로잉머신은 물의 유체 특성상 한계가 있다는 것이고 내가 그 한계치까지 당기고 있다는 말이다.

빠르게 계속적으로 당기면 그런 현상이 심해지고 리커버리에 천천히 하고 약간 쉬는 타임을 가지면 다시 당길 때 저항감이 올라간다. 즉 물의 회전이 어느 정도 느려지면 저항이 다시 만들어진다.

물론 컨셉2와 같은 에어로잉머신으로 바꾸고 싶지만 너무 크고 가격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일단은 반복 동작 중간에 약간 텀을 주어 당기는 힘을 유지하고 로잉머신을 타는 시간을 늘리는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NIKON NIKKOR af micro 105mm f/2.8d 수리

 당연히 언제 만들어진지도 모르는 105마를 SLR Club에서 중고 거래로 언제 구매 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 매크로 렌즈의 대물렌즈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사실 거래 처음부터 그랬는지 알 수가 없지만 무한대 초점이 안 맞는 문제가 있었다.

매크로 렌즈라서 무한대 초점을 사용할 일이 없다보니 알 수 없었다.

그런데 D렌즈들이 각진 조래개 덕분에 야경에 빛갈라짐이 예쁘게 표현된다는 것 알고 야경으로 자주 사용했어서 알게 되었고 무한대 초점은 그냥 수동으로 초점을 잡으면 문제는 없다.

얘기가 샛길로 빠졌는데 대물렌즈 부분이 빠진 문제는 카메라 렌즈 렌치 (Camera lens wrench) 도구를 이용해서 돌리면 된다는 정보를 알게 되어서 그 도구를 찾아 보니 대충 대물렌즈에 두 구멍에 끼워서 돌리서 분해, 조립하는 도구로 판단되었고 Aliexpress에도 쉽게 구매가 가능해 보였다.

그래서 사진처럼 옷핀으로 두 구멍에 넣고 발로 잡고 돌려보니 대충 들어가는 것이였다.


무한대 초점은 여전히 안 맞지만 어차피 매크로 렌즈라 무한대 초점을 사용할 일이 없어서 이번에도 대충 이렇게 해결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2023년 6월 16일 금요일

로잉머신 6개월 사용 후기

 전 평소에도 등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꾸준히 운동을 하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코로나 시절이후로 수영은 당연히 못하고 운동을 한동안 열심히 안 하게 되었습니다.

수영을 좋아해서 10년 넘게 수영을 하였지만 역시 왔다갔다 소모되는 시간에 자유수영을 주로 하다보니 토요일에 시간을 내야하는데 토요일에는 일정이 많다보니 못가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수영은 여름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수영하게 너무 불편하고 겨울에는 일주일 한번 정도는 괜찮은데 피부가 건조해져 점점 횟수가 줄어가는 중이였습니다.

한동안은 야외 달리기를 한 적이 있었는데 발목이며 족저근막역까지 오히려 발이 불편한 날이 많아서 포기... 날씨 영향도 많이 받고해서 저도 홈트레이닝에 관심이 가게되었습니다.

그때 눈에 들어온게 로잉머신이였습니다.

몇년 전 무한도전에 나와서 관심은 있었으나 다시 홈트레이닝을 하려고 하다보니 로잉머신이 딱인 것 같아서 여기저기 많이 찾아보았습니다.

그때 당근에 중고로 이고진 샤크 워터로잉머신이 물통이 금이 생겨서 싸게 내 놓은 물건이 있었는데 경험해 보자는 마음으로 23년 1월에 집에 들였습니다. 

물론 판매자 말씀대로 물통 깨진건 문제가 없었습니다.


1월에 구매하여 퇴근하고 하루 30분씩 일주일 하루 정도 제외하고는 열심히 하였습니다.

원래 수영을 오래하여 등 근육이 좋은편이어서 체형의 변화가 많지는 않았지만 체중 감량의 효가는 켰습니다.


장점

1. 홈트레이닝이라 퇴근하고 바로 운동하고 씻으면 낭비되는 시간이 없습니다.

2. 생각보다 소음이 적습니다. 아침, 저녁 늦게 하지 않는다면 아파트에서 해도 큰 소음이 발생하여 아래층에 피해가 가지 않을 듯 합니다. 단 관리가 잘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짧은 운동 시간에 대해 운동량이 많습니다. 30분만 전력으로 하면 온 몸이 떨릴 정도로 운동이 됩니다.

4. 로잉머신의 장점인 각자의 힘에 따라 운동 강도가 올라갑니다. 당기는 동작에서 강하게 할 수록 더 강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성이 하나 남성이 하나 각자에 맞게 운동이 가능합니다.

단점.

1. 홈트레이닝이다 보니 자신의 하고자하는 의지가 아주 크게 작용합니다.

2. 부피가 많이 큽니다. 거의 2M에 정도되다보니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3. 기계적인 파트가 있고 저기저기 롤러나 베이링 같은 부품이 많이 사용되니 고장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도 롤러가 고장나 교체하였는데 다행이 이고진 온라인 상당자분이 친절한 설명 덕분에 쉽게 고칠 수 있었습니다.


부품은 이고진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여 다이소에서 윤활제를 뿌려주니 소음이 싹 사라졌습니다.


로잉머신의 종류가 여러가지 입니다.

2022년 5월 31일 화요일

How to make WiFi higher priority than Ethernet on android?

 1. Android 9


frameworks/opt/net/ethernet/java/com/android/server/ethernet/EthernetNetworkFactory.java



/**

 * {@link NetworkFactory} that represents Ethernet networks.

 *

 * This class reports a static network score of 70 when it is tracking an interface and that

 * interface's link is up, and a score of 0 otherwise.

 */

public class EthernetNetworkFactory extends NetworkFactory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TAG = EthernetNetworkFactory.class.getSimpleName();

    final static boolean DBG = true;


    private static final int NETWORK_SCORE = 59;// fix to lower score than 60.


2. Android 11

frameworks/opt/net/ethernet/java/com/android/server/ethernet/EthernetNetworkFactory.java

        private static final SparseArray<TransportInfo> sTransports = new SparseArray();

        static {

            // LowpanInterfaceTracker.NETWORK_SCORE

            sTransports.put(NetworkCapabilities.TRANSPORT_LOWPAN,

                    new TransportInfo(ConnectivityManager.TYPE_NONE, 30));

            // WifiAwareDataPathStateManager.NETWORK_FACTORY_SCORE_AVAIL

            sTransports.put(NetworkCapabilities.TRANSPORT_WIFI_AWARE,

                    new TransportInfo(ConnectivityManager.TYPE_NONE, 1));

            // EthernetNetworkFactory.NETWORK_SCORE

            sTransports.put(NetworkCapabilities.TRANSPORT_ETHERNET,

                    new TransportInfo(ConnectivityManager.TYPE_ETHERNET, /*70*/55));